제어공학 기출문제~5년간이면... 이틀이면 푼다.
전기기사에서 제어공학은 회로이론과 더불어 출제 되는데, 총 20문제 中 10~11문제를 차지한다. 그 만큼 봐야 할 기출문제 수도 적으니, 5년간 기출문제라 하더라도, 이틀... 시간많은 학생들은 하루면 다 본다. 대부분의 기출문제를 보면, 초반에는 어려운데, 나중에는 반복 된 문제들이 많아 걍 쉽게 쉽게 풀어진다. 제어공학...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하나 믿고 공부 안 했었다. 그렇게 막상 문제를 보니, 도대체 뭔 소리야라는 느낌을 받았다. 그런데... 또 막상 답일 것 같은 것을 추론 해서 풀어보니... 또 대부분 다 맞다. 찝찝하다... 역시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제어공학에서 눈에 많이 띄는 것은 회로도를 해석하는 것이다. 뭐, 거창한 것은 아니고, 신호흐름선도의 전달함수, 속도 편차 상수, ..
회로이론~중첩의 정리, 테브낭의 정리, 밀만의 정리, 가역정리
회로이론이라 하여, 긴장을 했었는데, 별거 없었다. 그래서 기본에서 유도를 거쳐 지금은 중첩의 정리 등을 상대하고 있는데, 이를 굳이 설명 해야 할까 싶어 한동안 쓰지 않았다. 보면 다 안다. 중첩의 정리란 일부다처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압원이나 전류원이 여러개 있을 경우, 전압원은 단락 시키고, 전류원은 개방 시켜 각 경우의 전류를 합쳐 회로를 정리 한 것이다. 그렇다. 지금부터 설명 할 것들은 복잡한 회로도를 간단하게 정리하여 보기 좋게 만든 뒤 맛있게 냠냠 하는 것이다. 어찌보면, 원리는 간단하다. 다만, 많은 경우의 수가 있어, 문제를 풀면서 체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but 어느정도 수준이 되면, 직렬의 전압 분배의 법칙, 병렬의 전류 분배의 법칙만으로도 쉽게 정리 할 수 있다. 참고로 키..
회로이론~정현파교류, 계산기만 있으면 됨.
사실, 회로이론은 주제들이 많다. 그런데, 막상 읽어보면, 별거 없다. 정현파교류도 그 중 하나다. 순시값, 평균값, 실효값 등 여러가지가 나오는데, 외우기 까다롭게 보이지만, 막상 외우면 별거 없다. 여튼 위 표에서 구형파를 기준으로 위 아래로 나눠 외우면 외워진다. 그 다음으로 파고율과 파형율이 나오는데, 위에 처럼 외우면 된다. 파고율을 보면, 최댓값 / 실효값이다. 그런데 실효값을 보면 대게는 영덕대게! 횟집은 포항대게횟집! 대게 최댓값 / 000의 형태를 지닌다. 즉, 정리하자면, 실효값 분모가 파고율임을 짐작 할 수 있다. 정현파의 파고율은? 바로 루트2다.(참고로 실효값은 대게 루트2다. 모른다 싶으면, 루트2를 선택해라) 파형율도 마찬가지다. 실효값에다 평균값을 뒤집어 곱하면 된다. 정현파..
|
|
.
|
|
|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