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728x170

처음 들어가자 마자 기본적인 전기이론이 나온다.

직렬이 어떻고, 병렬이 어떻고...

정전용량 다룰 때 이미 다룬거라 별 감흥은 없다.

기본 내용이니만큼 가볍게 넘어 가자.

2021.12.17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가스] - 전기자기학~전류... V=IR만 알아도 되지 않나? I=Q/t 이거 알면 더 좋고! & 저항온도계수

 

전기자기학~전류... V=IR만 알아도 되지 않나? I=Q/t 이거 알면 더 좋고! & 저항온도계수

전류란 시간당 얼마나 많은 전하가 흐르냐를 의미한다. 단위는 [A] 또는 [AT]를 많이 쓰고. 솔직히 이 part는 각 요소의 삼각관계만 알아도 다 파악이 가능하다. 한 10초간 바라바라. 그럼 저 왼쪽의

aldkzm.tistory.com

 

그래도 마음에 걸리는 것이 있다면, 전지의 내부저항, 사다리꼴 회로,

휘스톤 브리지 회로다.

 

전지는 전하를 담은 통이다.

전하는 양자와 전자 둘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가 배울 때는 양자에서 전자로 흘러간다고 배웠고, 이의 흐름을 전류라 명하였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자에서 양자로 전하의 흐름이 조성된다.

(어쩐지 고딩 때 뭔가 찝찝했었다.)

과학자들은 귀찮아서 계속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류가 생성된다. 우기는거고.

 

여튼 전지 안에도 저항이 있는 이 저항을 내부저항이라 한다.

뭐, 별거 없다. 저항 계산하는데 밥숟가락(내부저항) 하나 더 얹는다 생각하면 된다.

 

가령 이런 문제가 있다.

전압은 저항이 강할수록 강해진다. 즉, 전압은 최대값은 내부저항이 큰 전압계에 몰리게 되는 것이고, 직렬이니 전압분배의 법칙으로 구하면 되는 문제다.

 

다음으로 사다리꼴 회로를 풀어보자.

전압문제네.... 내부저항에서 배우는 것인데, 같은 크기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 되어 있으면, '같은 크기 / 그 연결 된 갯수 = 합성저항' 이라는 관계가 성립된다. 그러니,

직렬 5 + 5 = 10이고, 10과 10의 병렬에서 합성저항은? 10/2이니 합성저항은 5이다.

그래서 후장을 야매떼~ 해버리면 결국 전원 앞에는 저항 5와 저항 5가 직렬로 연결된 등가회로가 된다.

그러니 전압분배법칙에 따라 앞에서 반으로 쪼갈라 나아가면? 종국에는 3옴이 된다....

 

이해가 가지 않는가?

 

그럼 걍 외우면 된다.

전류도 마찬가지다.

등가회로에 따라, 5옴과 5옴이 직렬을 유지하니, 차피 전류는 같은지라 만약 5의 전류가 흐른다면, 뒤의 등가회로에도 5의 전류가 흐르고, 같은 10옴이 2개 연결 되었을지니, 전류분배 법칙에 따라 전류는 2등분 된다. 그렇게 반으로 나누다보면, 종국의 전류를 알수 있게 된다...

 

솔리직히 사다리회로는 점수 먹으라고 주는 문제다.

 

그 다음 휘트니스 문제.

 

옴마야... 이게 무신 툼스톤화일드라이브 문제에요...

휘스톤 브릿지는

이거란 말이에요... 분명 맞다.

여튼 저 문제는 대각선의 곱이 일치하면, (5*3 =5*3) 하면 가운데는 개방되었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휘스톤 브릿지 특성을 이용한 것이고, 그러면, 직렬 5+3은 8옴, 각 8옴으로 병렬로 연결 되어 있으니, 합성저항 4옴.

I=V/R로 100/4 = 25다. 그러니, 정답은 25암페어다.

 

쉽지? 쉬울거다.

시험도 얼마 안 남았으니, 자존심 세워가며 혼자서 곰 곰히 생각하지 말고, 정답과 풀이는 인터넷에 널렸으니, 검색하자.

 

 

정답은 인터넷에 널렸다.

옛날에는 윗사람이 말하는 것이 정답이였는데, 요즘은 그런 윗사람들도 정답을 인터넷에서 찾는다.

썩은 고인물에 어찌 생명이 살까...

아무리 맑은 물이라도  그 물에 담그면 썩게 되는거지.

 

아유 썩은 내~

 

 

반응형
그리드형
영덕박달대게 택배 영양 태양광 1.9mw 전복소라 영덕 태양광 1.7mw 이시가리(줄가자미) 공장 위 500kW 고둥 영덕박달대게 택배 돌문어 영덕박달대게 택배 영덕박달대게 홑게 회 신재생에너지
#강구박달대게 시세는(054-734-0458)
#태양광 상담은(010-2668-3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