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p상한제~1kw당 132원! 수익성 계산하기 좋네~
날치기 법안도 아니고, 갑작스러운 smp 상한제 등장에 태양광 관련 종사자들이 들썩인다.(특히 현물시장 파이터들!) smp 상한제란 무엇이냐?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smp(전기값)이 너무 높으니, 상한을 둔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베베 꼬여 제도를 만들었는데, 정리하자면, 직전 3개월간 평균 smp가 너무 높다? 그럼 10년 동안 평균 smp의 1.25배까지 smp를 다운 시키겠다는 의미다. 얼마동안? 한달동안. 얼마전 smp가 200원이였다가 갑자기 150원으로 떨어진 것도 이 연장선이라 생각하면 쉽다. 1.25배라... 그럼 이 제도가 시행되면, 최대 smp가 132원! 1kw당 132원이라는 의미다. rec가 평균 40원 이상은 하니,,, rec까지 더하면 184원이지만, 최대라는 것에 한계를 둔다...
태양광 수리계산서~만들면 되기는 한데... 재해영향평가보고서도 제출 해야 하나...
토지에 하다 보면, 여러가지 신경 써야 할 것이 많다. 그 중 하나가 수리계산서인데, 우수관과 관련하여 과연, 현재 적용한 설계가 맞는가를 나타내는 계산서이다. 2021.11.14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가스] - 맨홀, 집수정, 플룸관, 스틸그레이팅(s/g)-토목 분야(태양광) 맨홀, 집수정, 플룸관, 스틸그레이팅(s/g)-토목 분야(태양광) 태양광은 주로 건물 위, 물위 그리고 땅 위에 세우게 된다. 건물이나 물위의 경우 건축에 대해 잘 알면 좋고, 땅위에 짓는다면, 당여히 토목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요즘 사람들은 겉모습에 빠져 aldkzm.tistory.com 조금 까다로운 곳은 재해영향평가서도 작성 할 것을 요구한다. 다행히 이번에 맡은 곳은 단순히 개발행위변경만 하면 되기에..
건축구조~부정정차수, 아... 공무원 문제에 출제 되는구나...
사실, 건축구조에는 앞서 단면계수, 모멘트, 여러가지가 나오는데, 다들 미분과 적분 이야기라 왠만하면 식을 외우는 분위기다. 이런 분위기에서 굳이 필자가 설명 해 봤자, 서로 시간만 앗는 것 같아 생략하고, 누군가가 부정정 차수에 대해 질의를 하여, 여기에 답할겸 작성 해 본다. 우선 정정과 부정정을 함 알아볼까? 정정이란 평형조건식만으로도 반력과 부재력을 계산 할 수 있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부정정이란 평형조건식만으로는 반력과 부재력을 계산 할 수 없는 상태 또는 구조물을 의미하고... 사실 필자도 뭔 소리인지 모르겠다. 걍 굳이 알 필요도 없는 내용이니 넘어가자. 그래도 분명 한 것은 이 부정정차수의 값이 0미만이면, 불안정한 구조고, 0이면 안전하면서 정정(적당한)한 것이고, 0을 초과하면 안전하기..
|
|
.
|
|
|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