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728x170

정류기... 마치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는 장치'라고 어디에서 들은 것 같다.... 아... 직류기에서 했었지?

사실, 유도기는 앞선 게시글에서 

2022.01.10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가스] - 전기기기~동기전동기, 변압기를 지나 유도기기

 

전기기기~동기전동기, 변압기를 지나 유도기기

동기전동기는 동기발전기보다 훨씬 양이 적다. 반복 되는 내용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 해야 할 것은 있다. 바로 E = 4.44fuck... 아니, E = 4.44fΦ ωk라는 공식이다. 3상이나 교류가 들어

aldkzm.tistory.com

다룬 내용만 알아도 푸는데는 크게 문제 없다.

 

나머지는 어느정도 센스 문제지.

물론 동기속도를 구하는 식이나 게르게스 현상이 뭔지 그리고 전류와 전압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살짝 알고 있어야 한다.

동기속도 구하는 식은

간단하다. 극수를 2로 나누는 것은 전기회로 상 때문이고, 60을 곱한 것은 rps를 표현하는 것을 위함 인 듯 한데, 알필요 없다. 걍 한번 보면 알게 된다. 보기 싫어도 뒤에서 문제 풀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자주 보게 되고, 모르고 싶어도 알게 된다.

 

그럼 게르게스 현상이란?

게르게스 현상은 그 뭐시기당가... 선 하나 끊어지면, 전류는 약해지지만 속도는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종국에는 모터를 고장 내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유도전동기는 평소에는 3상을 하고 있는데, 선 하나가 끊어지면? 단상이 되지? 그럼 전압이 √3 줄어든단 말이야...

2021.12.29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가스] - 전력공학~전주 이야기니까... 대부분 3상이 많이 나오네. √3의 이유

 

전력공학~전주 이야기니까... 대부분 3상이 많이 나오네. √3의 이유

전력공학은 simple하게 말하면, 전주(전봇대) 이야기다. 신재생을 하고 있는 작금 전봇대 이야기는 빼 놓을 수 없다. 태양광의 경우 용량의 한계로 인해 가공전선을 많이 사용하고, 우리 회사가 또

aldkzm.tistory.com

그럼 옴의 법칙이든 뭐든 일반적으로 전압과 전류는 반비례 한다.

그러니, 선하나가 끊어지면, 전류는 증가하고 그럼에도 회전은 멈추지 않으니까 모터에 무리가 가고,

 

반복해서 말하지만, 전압과 전류는 기본적으로 반비례 관계니, 이거 알면, 한 두 문제는 맞추니 큰 tip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 이외에도 자질구레 한 것은 많지만, 오늘은 여까지!

자 문제 풀자.

보자... 슬립은 뭔 소리인지 모르니 pass 하고, 권선형에서 2차 저항을 이용한 비례추이를 하니까 3번은 아이고,,, 1번과 2번이 헷갈리네... 그런데 슬립의 관계에 있어서 전동기, 제동기, 발전기 중 특히 발전기는 회전자가 회전자계를 앞서 가니, 무부하 속도보다 동기속도가 빠른 경우도 있으니 틀렸다 보는 것이 맞고... 아.. 단상 유도전동기는 기동장치가 필요하구나... 하나 더 배워가네...

 

이 문제는 말이다. 대법원 판례... 아니... 주파수와 슬립의 관계를 알면 된다. 바로, f(출력) = f(입력)s 그럼 답은? 6임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

 

뭔 말이야... 어... 일단 속도를 물어보니까. 120f 뭐시기 이용하자... 1200나오네.. 음... 이거 동기속도지! 아! 회전자계속도를 무부하속도라 하나? 그럼 N=(1-S)NS를 이용하면 에또... 4번이 정답일라나?

 

뭐 다들 무난하네...

반응형
그리드형
영덕박달대게 택배 영양 태양광 1.9mw 전복소라 영덕 태양광 1.7mw 이시가리(줄가자미) 공장 위 500kW 고둥 영덕박달대게 택배 돌문어 영덕박달대게 택배 영덕박달대게 홑게 회 신재생에너지
#강구박달대게 시세는(054-734-0458)
#태양광 상담은(010-2668-3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