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728x170

지난 게시글에서도 역률에 대해서 잠깐 설명한 적이 있다.

역률 나오면, 무조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기억하라.

(지금와서 코사인 사인 탄젠트 설명은 할 필요 없겠지?)

 

왠지 이 사람이 설명 잘 할 것 같아서 동영상도 하나 투척 해 본다.

위의 그림과 같이 실제로 힘을 주는 방향과 이동방향이 다른데, 고로 그의 관계를 코사인으로 나타 낸 것이 역률이다.

굳이 식으로 정리를 하자면,

이렇게 정리가 가능한데, 걍 맨 처음 이미지만 머리속에 넣어 놓으면, 어떻게든 문제를 풀 수 있다.

역률은 피상전력 외에도 저항에도 쓰이기 때문에 이미지로 외우는 것이 맞다.

예를 들어

이런 관계인데, 이 것은 회로이론에서 다룰 내용이니, 굳이 지금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어차피 쉬운 내용이니 한번 보고 가자. 인피던스란? E/H로 전류가 흘려 자계가 발생하면 이에 반응적으로 전계가 발생하는 관계를 저항으로 표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기적 저항과 자기적 리엑턴스의 관계를 표시 한 것이 위한 죽음의 버뮤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다.

 

참 쉽죠?

 

그러면, 전력공학에서 피상전력을 왜 알아야 해요?

님아 지금 이 질문 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전력 구할 때 코사인은 그냥 넣는갑다하고 외웠다는 거지? 코사인 쓰는 이유가 님이 구한 전력의 순수 유효전력을 구하기 위함인데...

그리고 진상 중의 상진상인 진상전류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조상기가 필요한데, 그때 콘덴서 용량을 구할려면? 그때는 무효전력을 알아야 하는데, 유효전력을 알아야 거기다 탄젠트를 곱해 콘덴서 용량을 추론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이 이미지 하나만 있으면, 푸는데는 문제 없다.

 

마찬가지로 효율도 간단하게 외우면 된다.

실제로 나온 값 / 투자한 값

전력이든 뭐든 효율 물으면, 이렇게 기억하면 편하다.

다음으로 수변전설비 설계 할 때 필요한 값으로 설계용량, 수용률, 부등률, 역률 등이 필요한데, 이 것들은 변압기 용량 설계 할 때 사용 된다.

그니까... 공식이.... (설계용량 * 수용률) / (부등률 * 역률)

 

이정도 된다.

자, 그럼 수용률을 알아야겠지? 책 봐라. 그럼 안 안다.

수용률 = 각 기기의 최대전력의 합 / 설계용량으로, 그럼 설계용량과 수용률을 곱하면? 각 기기의 최대전력의 합이 나오겠지? 그럼 변압기 용량 구하는 공식을 다르게 표현하면? 각 기기의 최대전력의 합 / (부등률 * 역률)

이렇게도 표현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수변전설비의 운영... 별거 없음.

차단기만 잘 내리면 됨.

고장 나면 똑같은 것으로 교체하면 되는거고, 없으면 전기 파는 분한테 물어보면 되는거고.

뭐, 차단기 내릴 때 큰 거부터 내리고 작은 것을 내려야 한다는 것 정도만 알면 됨.

이 내용에서 단로기 이야기와 연관지으면 되고.

 

단로기는 단순히 회로를 구분하는 역할로서 충전전류는 차단 할 수 있지만, 부하전류는 차단 하면 안 된다. 왜? 전기설비규정에서 그렇게 정했으니까.

그럼 차단기와 DS가 달려 있을 때 개방 할려면 뭐부터 내려야 할까? 차단기. 

그래야 무부하전류가 되어 단로기를 내릴 수 있으니까.

올릴 때는? 단로기를 먼저 올려야겠지? 그래야 무부하전류 때 올려야 한다는 전기설비규정을 지키는거니까.

 

이 내용만 알면 된다...

 

이 것이 끝나면, 수력, 화력, 원자력 내용이 있는데...

 

이게 전기하고 뭔 상관이 있는지, 꾸역 꾸역 내고 있다.

물론 발전소들이 궁극적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것은 전기다. 하지만, 수력, 화력, 원자력 등이 발전 원리는 전기분야가 아니다! 이렇게 확언 할 수 있는 이유는 필자가

2018.07.12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가스]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도 전기경력수첩 발급합니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도 전기경력수첩 발급합니다.

2018.04.28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가스]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필기 후기 및 기타 정보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필기 후기 및 기타 정보 한번쯤은 따보고 싶었

aldkzm.tistory.com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이기 때문이다.

법적으로도 전기와 발전설비는 엄연히 구분되어 관리 및 유지가 되고 있는데, 산재부에서는 이에 대해 전혀 터치를 하지 않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직무자격 불인정 건 > 대한민국 청와대 (president.go.kr)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직무자격 불인정 건 > 대한민국 청와대

나라를 나라답게, 국민과 함께 갑니다.

www1.president.go.kr

그래서 필자는 조금 여기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고 있다.

솔까말, 지금 전기쟁이 아무나 붙잡아서 수력발전서 발전량을 구하는 공식을 함 물어봐라. 9.8QH가 나오나....

Q는 물의 체적이고, H는 하이뮴... 아니 수차 높이고... 안 쓰니까 모르지...

그럼 캐피테이션은? 화력발전소의 발전량은? 아니, 킬로칼로리 = 1/860 * 전력 이 관계는? 물론 고등학교 때도 배우는 내용이다. 하지만, 안 쓰면 모른다...

 

원자력과 석탄을 이용 한 발전량의 관계는 아예 3.3배로 걍 퉁쳐놓는 것을 보면, 이 부분은 시험에 잘 안 오는 것을 유추 해 볼 수 있다.

뭐, 수력이야 신재생기사 때 했고,

화력이야 뭐? 캐피테이션?

2021.10.01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가스] - 2021년 가스기능사 합격 후기~어려운 것은 아닌데 좀 저기 하지

 

2021년 가스기능사 합격 후기~어려운 것은 아닌데 좀 저기 하지

걍 영어로 확인서 뽑아봤다. 울산 중구로라 나오는데... 어.... 난 포항에서 시험쳤는데???? 비록 몸은 영덕에 있지만, 이런 시험은 타지에서 쳐야 한다.... 늘 말만 말만 영덕에 뭐? 에너지 학교를

aldkzm.tistory.com

가스기능사한테 캐피테이션을 묻다니, 어이가 없네... 그럼 님은 자연발화의 조건 중 습기와 관계에 대해 설명 할 수 있음?

원자력이야 함 설계 한 적이 있으니 뭐... 기본은 다 아는 내용이고.

 

내든지 말든지.

 

이러면 전력공학도 끝이다.

 

그 다음 전기기기인데, 직류기, 동기기, 유도기, 변압기, 정류기 내용이 나온다고 목차에 있던데... 어... 왠지 알 고 있는 내용 같은 느낌 아닌 느낌이 뭐지? 한 번 봤었나... 직류기의 주요구성요소는? 전기자, 계자, 정류자 아니여...

정류자가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지... 그럼 정류기도 비슷한 기계이겠네? 동기기... 싱크로나이즈... 아, 직류 반대말은? 교류! 교류을 발전하거나 교류로 전동하는 기기구나. 변압기는 알잖아... 전압을 변화 시켜주는 거... 어... 왜 내가 이 내용을 다 알고 있지???

 

뭐, 어디선가 봤겠지... 여튼 안 써먹으면 까먹는다니까...

맘만 먹으면 하루나 이틀이면, 전기기기 다 끝낼 것 같은데... 아... 난 직장인이지...

반응형
그리드형
영덕박달대게 택배 영양 태양광 1.9mw 전복소라 영덕 태양광 1.7mw 이시가리(줄가자미) 공장 위 500kW 고둥 영덕박달대게 택배 돌문어 영덕박달대게 택배 영덕박달대게 홑게 회 신재생에너지
#강구박달대게 시세는(054-734-0458)
#태양광 상담은(010-2668-3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