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용어 정리를 해 볼까?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발전 사업을 하는 기업 중 대규모(50만kw이상) 발전 사업을 하는 기업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일정한 량의 발전을 해야 한다는 제도이다.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 RPS 제도에 해당 하는 사업자가 만약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사업을 하기가 어렵다? 그러면 그 사람은 그 제도로부터 면피 할 수 있는 인증서를 사야 하는데, 그 인증서가 REC다.
SMP(System Marginal Cost) : 계통한계가격이라고 많이 부르던데, 쉽게 전기값이라고 보면 된다. REC가 발전사업주들에게 파는 인증서라고 한다면, SMP는 한전에게 판매하는 것이라 보면 된다.
정리하자면,
s는 그냥 제도를 말하는거고, c는 면피 용 인증서, p는 한전에서 사가는 가격을 말한다.
한전에도 팔고 발전소에도 파는건가요?
맞다. 다만, 생산 된 발전량을 나눠서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 된 발전량에다 SMP와 REC 그리고 (REC)가중치를 곱하면 되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계산하나요?
우선 원시적(?)으로 한다면,
http://onerec.kmos.kr/portal/index.do
이런 사이트에서 REC값과 SMP값을 참조하여 이를 발전량에다 계산을 때리면 되나, 제도나 가격이 바뀔 때마다 계산식이 달라짐으로 걍 어플 하나 적당히 받아서 REC값과 SMP값을 집어넣으면 계산이 알아서 된다.
또한 만약 님이 계약을 맺었다면, 신재생원스톱에서 계약을 맺을 것이고 RPS종합지원시스템에서 관리를 할 것이니 굳이 계산을 할 필요는 없지만, 달마다 이렇게 가격을 매기는 것에 대해 이의가 없느냐 묻는 절차(?)가 있기에 혹시나 통수 안 맞을려고 하면 위 사이트에서 그 때 그 때 관련 계산법이나 가격을 봐야 한다.
앞으로 REC와 SMP 전망이 어떤가요? 오를까요?
REC는 RPS제도에 속박 된 발전사들이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사업을 할 바에는 인증서를 사는게 더 싸게 먹히니까 지금까지는 걍 인증서를 샀는데... 패릿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신통하여 앞으로 REC는 떨어지면 떨어지지 오르지는 않을 듯 하다. 또한 이제 공급도 과잉이라 REC가격을 임의로 유지한다하더라도 차라리 그 비용 물을바에는 직접 하면 되는 문제이기에 fit제도를 하던 말던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SMP 같은 경우 상식적으로는 화석연료에 의한 에너지 가격이 오르면 오를 수록 SMP의 가치도 오를 것이라 생각하지만, 태양광이나 풍력 같이 수급이 일정하지 않고, 뻑하면 고장나고 과잉생산으로 인해 정지 해 버리는 현실을 고려 해 보건데, 조만간 다른 신재생에너지발전소로 눈을 돌리거나 차라리 화력발전소 증축으로 이어나가 크게 기대는 되지 않는다.
못 믿겠다고?
www.electimes.com/article.php?aid=1601022760205594097
그런데 님 태양광 한다고 하지 않았나요? 뭐가 그렇게 냉담해요...
나??? 누가 태양광만 한데????ㅋ
신재생에너지면 다 한다.
2023.03.01 - [각 종 it/파이썬, 업무자동화 RPA] - chat gpt를 이용하여, 태양광 수익 계산기 함 만들자(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FIT, 현물시장)
#태양광 상담은(010-2668-3897)...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