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가스 위험도와 혼합가스 폭발한계를 함 구해보자.
우선, 위험도와 폭발한계를 설명하기 전에 용어 정리부터 해야 한다. 폭발한계, 폭발범위, 연소한계는 다 같은 말! 폭발한계란 공기 중의 가연물의 농도에 따라 폭발 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고로, 우리는 폭발범위라고도 하고 폭발 하기 위해서는 불타올라야 하니, 연소한계라고도 한다. 여기서 연소란 산화반응이라는 것은 기본으로 알고 가자. 폭발한계에는 다시 폭발하한, 폭발상한이라는 개념이 있다. 폭발하한은 폭발 할 수 있는 최소농도, 폭발상한은 폭발 할 수 있는 최대농도를 뜻한다. 다른 말로 하면, 연소하한계, 연소상한계라고도 부른다. 위험도 구하는 식은 (u-l)/l이다. 여기에서 u는 폭발상한계, l은 폭발하한계를 뜻한다. 즉, 이 식을 풀이하면, 폭발상한계와 폭발하한계의 차이가 커도 위험하고 폭발하한..
|
|
.
|
|
|
|
RECENT COMMENT